AF용 릴리즈 자작기 (김환득님 글) > 사용기

본문 바로가기
  • 회원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 접속자 75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용기

AF용 릴리즈 자작기 (김환득님 글)

페이지 정보

본문

김환득님이 작성하신 글로서 허락을 받고 올립니다. 모든 저작권은 김환득님께 있음을 밝힙니다.

자동차 리모트 키를 이용한 자작 릴리즈 만들기

얼마전 제가 자동차 리모트키를 이용해서 릴리즈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의 자작기가 있었지만 그래도 혹시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해서
정보 공유 차원에서 제 경험을 바탕으로 자작 릴리즈 만드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inolta_release.jpg
<그림1> 미놀타 릴리즈(RC-1000S)

1. 릴리즈란?

많은 분들이 이미 잘 알고 계시지만 혹시 모르는 분들을 위하여 잠깐 설명드리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잘 알고 계신분들은 읽지 말고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릴리즈란 카메라의 셔터의 기능을 대신하는 유선 혹은 무선 리모콘(Remote Controller)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양은 왼쪽 <그림 1>처럼 생겼습니다. 우리가 TV의 켜거나 끌때 리모콘을 사용하듯이 카메라의 부착된 셔터를 직접 누르지 않고 릴리즈를 이용해서 셔터를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그럼 왜 굳이 셔터를 놔두고 릴리즈를 사용하느냐고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릴리즈의 기본적인 기능은 흔들리지 않은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거기다 부수적으로 촬영상의 편리성을 제공해 주기도 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사진을 찍을 때 셔터 스피드가 예를 들어 1/500초, 1/1000초 처럼 매우 짧다면 카메라가 미세하게 흔들린다고 해도 워낙 짧은 시간에 사진이 찍히기 때문에 흔들림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사진이 흐릿하게 찍히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어두운 경우(야경 촬영 등)나 망원렌즈나 접사렌즈를 이용해 사진을 찍을 경우는 사정이 달라집니다.

example_photo.jpg
<그림 2> 흔들린 야경 사진

먼저 왼쪽 <그림2>의 사진을 보시기 바랍니다. 야경을 찍은 사진을 크롭한 것인데, 보시면 카메라가 흔들리면서 빛이 두 개로 흔들려 찍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야경 촬영 등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찍게 되면 셔터 스피드가 1/10초 혹은 3초 처럼 길어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 셔터가 장시간 열려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미세한 흔들림도 사진에 영향을 주게 되어 결국 흐릿한 사진이 찍히게 되는 것이죠. 또한 망원렌즈나 접사렌즈를 이용할 경우 렌즈 특성 상 광각렌즈에 비해 약간의 움직임에도 피사체의 상이 많이 움직이게 되어 더욱 흔들림에 민감하게 됩니다. 이처럼 미세한 카메라의 움직임에도 사진이 영향을 받는 경우 셔터를 누르기 위해 힘을 가하는 순간 카메라가 미세하게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사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셔터를 누를 때의 미세한 흔들림을 예방하기 위해서 릴리즈가 사용됩니다.

특히 벌브 촬영을 해야하는 환경에서 좀더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장비입니다. 부가적으로 생태 촬영에서 피사체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먼저 카메라를 설치한 후 멀리 떨어져 피사체가 카메라 앵글안에 오기를 기다려 릴리즈를 이용해 사진을 찍으면 좀더 쉽게 찍을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몰래 찍어야 할 경우 릴리즈를 이용하면 대상이 되는 사람이 자신이 사진 찍히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좀더 자연스런 사진을 찍을 수 있겠죠. 그리고 셀프 사진을 찍을 때도 무척 편리합니다. 이처럼 릴리즈는 좀더 선명한 사진을 찍기 위해서 혹은 촬영의 편의를 위해서 필요한 부가 장치입니다.

2. 자작 릴리즈를 만드는 이유는?

물론 돈입니다.^^ 돈을 절약하기 위해서죠^^
간단한 스위치만으로 만들어진 이 것이 돈주고 구입하려면 몇 만원이 들어가니 어찌 돈이 아깝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래도 자작 릴리즈를 만드는 이유에 돈만을 갖다 붙이면 너무 속물적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니 좀더 고상한 이유를 갖다 붙이자면 스스로 만들어 보는 과정에서의 즐거움과 성취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만들기가 아주 쉽다는 것입니다.

3. 자작 릴리즈 만들기

사설이 좀 길었죠?
그럼 본격적으로 자작 릴리즈 만드는 방법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3-1 준비물

- 3핀 짜리 오디오 커넥터(보통 시디롬 사면 딸려옵니다)
- 전선(커넥터와 스위치를 연결하기 위한 3선짜리)
- 스위치 2개 (저는 자동차용 리모트키를 이용)
- 열 수축 튜브(혹은 절연테이프)
- 납땜용 인두, 칼, 뺀치 등..

camera_remote_control_1.jpg
<그림 3> 알파7의 remote control audio_cable_1.jpg
<그림 4> 3pin audio connector controller.jpg
<그림 5> 차량용 리모트키(RKE)


일단 카메라 본체에서 릴리즈가 연결되는 커넥터부분을 보시면 <그림3>과 같이 3핀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진은 저의 미놀타 알파 7의 커넥터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것에 맞는 3핀 커넥터를 구해야하는데 다행히도 시디롬 사면 딸려오는 오디오 커넥터가 아주 제격입니다.<그림4>

그런데 오디오 커넥터의 형태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잘 찾아보시면 <그림4>와 같은 3핀 짜리를 구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별다른 작업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거의 딱 맞더군요. 만일 그림과 같은 모양인데 구멍이 4개짜리라면 선이 없는 구멍하나를 잘라 버리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셔터의 역할을 할 스위치가 필요하겠죠? 이 것을 구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어떤 것을 이용하느냐?

많은 분들이 다양한 것들을 이용하고 계십니다. 그냥 3단 스위치를 필름통등에 달아 사용하시는 분, 카세트나 CDP 리모콘을 이용하시는 분 등등... 아무튼 자신이 쉽게 구하고 취향에 맞는 것을 사용하면 됩니다.

저는 <그림 5>와 같은 흔히 말하는 차량용 리모트키를 이용했습니다. 정확한 용어는 RKE(Remote Keyless Entry)입니다. 회사에서 고장난 것을 하나 얻어서 사용했습니다. 큰 버튼(ROCK)을 셔터 버튼으로 작은 버튼(UNROCK)을 반셔터 버튼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커넥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3선짜리 케이블이 필요한데 저는 그냥 시디롬 오디오 케이블 3개를 연결해 사용했습니다. 다행히 저한테 시디롬 오디오 케이블이 3개나 있어서 그냥 그것을 연결해서 사용했지요.

나머지는 작업을 위한 도구들(칼, 인두, 테이프, 스트리퍼 등등)이 준비 되야 겠지요. 저는 모두 회사 것을 빌려 작업했습니다.

camera_remote_control_2.jpg
<그림 6> Remote Control 각 핀의 역할

3-2 작업전 먼저 알아야할 커넥터 핀의 역할

<그림 6>은 저의 미놀타 알파7의 커넥터 부분입니다. 일단 보시다시피 핀이 3개가 있는데 각 핀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야야 겠죠? 그림의 1번은 그라운드(Ground)입니다. 그리고 2번은 초점과 노출을 잡기 위한 반셔터 기능을 하는 핀이구요 마지막 3번이 셔터입니다.(이것은 제 미놀타 알파 7의 경우의 핀 배열인데 아마 미놀타 AF카메라 용 릴리즈가 기종별로 없는 것으로 보아 모두 동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커넥터 구멍 위치가 다를 테니 혹시 헷갈리지 않도록 조심 하셔야 겠지요. 참고로 잘 살펴보시면 구멍 벽에 약간 돌출된 부분(4번)이 있는데 그것이 위치하는 곳에 있는 가장자리 핀이 셔터 핀(3번)입니다. ) 결국 결론은 그라운드인 1번과 2번이 연결되면 반셔터가 작동하고 1번과 3번이 연결되면 셔터가 작동되는 겁니다. 그럼 2번과 3번이 연결되면 어떻게 되냐고요? 한번 해보세요!! 그리고 어떻게 되는지 저에게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witch.jpg
<그림 7> 스위치 연결

3-3 스위치 연결

이제 핀의 역할을 알았으니 나머지는 1번(그라운드)핀과 2번(반셔터)핀을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하고 다른 스위치 하나에는 1번(그라운드)핀과 3번(셔터)핀을 연결하면 되는 아주 간단한 작업만 남았습니다. 저는 이 스위치 대용으로 ROCK과 UNROCK의 두개의 버튼을 갖고 있는 자동차 리모트키(이하 RKE)를 이용했습니다. 먼저 RKE를 분해합니다.(분해는 나사도 없기 때문에 그냥 동전같은 걸로 열면 됩니다.) 분해하면 그림의 1번과 2번 같은 스위치가 보입니다. 나머지 복잡한 부품들은 전혀 쓸일이 없으니 신경쓰지 마세요. 이제 1번 스위치를 셔터로 2번 스위치를 반셔터로 사용할 겁니다. 먼저 5번의 붉은 선이 그라운드 선입니다. (물론 카메라의 커넥터에 연결되었을 경우 이 붉은 선이 그라운드인 1번 핀에 연결된다는 뜻 입니다.) 이 선을 두 스위치에 한쪽 핀에 연결합니다.(그림에선 한 곳에만 연결되어 있지만 PCB 기판에서 이미 두 스위치 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두 스위치에 모두 그라운드를 연결한 것과 같습니다.) 다음엔 반셔터용 전선(4번)과 셔터용 전선(3번)을 각각의 스위치 나머지 핀에 연결합니다. 자 그러면 작업은 거의 끝입니다. RKE 케이스에 전선을 뽑을 구멍을 둥근 줄을 이용해 만들어 전선을 뽑고 두껑을 닫으면 OK!

line.jpg
<그림 8> 열 수축 듀브로 마무리

3-4 마무리 작업

이제 여분의 전선을 이용 자신이 원하는 길이로 커넥터 핀과 스위치를 연결해 주고 연결부위는 그림과 같이 열 수축 듀브를 이용하거나 테이프로 깔끔하게 마무리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시디롬 오디오 케이블 3개를 연결하여 약 1m 정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카메라에 릴리즈를 연결하고 테스트를 해봅니다. 반셔터와 셔터 스위치가 이상없이 작동한다면 작업은 대성공!! 마지막으로 이제 완벽한 동작이 이루어 졌으므로 스위치를 두껑을 열필요가 없으면 전선을 빼내기 위해 뚫은 구멍을 실리콘으로 막아주고 깔끔하게 정리하면 모든 작업 완료!!
<그림 9>가 최종적으로 완성된 자동차 리모트키를 이용해 만들어 본 자작 릴리즈의 모습입니다.

release_total.jpg
<그림 9> 완성된 릴리즈

4. 비용

자작 릴리즈 제작에 들어간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3핀 커넥터 : 0원(집에 굴러 다니는 시디롬 커멕터 이용)
- 전선 : 0원(역시 남는 시디롬 커넥터 케이블 이용)
- 스위치(리모트키) : 150원(커피 사주고 회사 동료로부터 얻음. 커피값 150원)
- 기타 작업용 툴 : 0원(회사 것 사용)

모두 해서 150원 들었네요^^
미놀타 릴리즈가 한 3만 5천원에서 4만원 사이니깐...
이거 슬라이드 필름(7천원) 5통 값은 벌었습니다 ^^
이상 저의 허접한 릴리즈 자작기 였습니다.

**이 글을 무단 복사하지 말아주세요.
**문의 사항은 aircipher@hanmail.net으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형동생님의 댓글

no_profile 형동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릴리즈 하나 만들어야 겠다...
스위치는 종류별로 회사에 굴러다니는거 많은데...ㅎㅎㅎ

김환득님께 감사를....^^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